전체 글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상속과 다형성 안녕하세요 윌리엄이예요~~ 오늘은 지난시간에 배운 주 생성자와 부생성자를 바탕으로 상속과 다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이란? 흔히 자식이 부모에게 유산 받을때 "상속"이라는 말을 사용하죠? 클래스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상속이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부모클래스에서 가지고있는 추상화된 속성 (프로퍼티,메소드)을 자식이 그대로 사용 할 수 있는 관계를 나타내죠 또한 자식은 부모의 속성에 추가적으로 속성을 추가 할 수있어요! 그럼 상속을 왜 사용할까요? 이유는 똑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안해도 되기 때문이예요 예를 들어 부모가 집을 사서 가족이 같이 산다면 자식은 굳이 집을 또 살필요가 없죠(학생이라면) 그냥 거기서 필요한 생활용품만 사면 되는것처럼 말이죠! 지금까지 상속에 대한 정의를 소개 했고 코틀린에서 상속.. 클래스의 개념과 생성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제 세계와 비슷하게 복잡한 객체간 상호작용 관계를 표현하고 이를 통해 확장과 재사용이 용이한 프로그래밍입니다. 현재까지도 여러 언어에 도입되어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기법이기도 합니다 또한 함수형(functional programming) ->FP 도 적용됩니다!객체 지향 기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알아 두어야 합니다. 객체 지향에 사용되는 개념 추상화(abstraction): 특정 클래스를 만들 때 기본 형식을 규정하는 방법(개념화) ->추상화의 예 ) 1.엔진으로 움직이는것 2.운전석이 있는것 3.달릴수있는것 등등 인스턴스(instance): 클래스로부터 구체화 시.. XML 요소 모음 1.버튼 음영없애기 android:stateListAnimator="@null" 1. app:backgroundTint="#FF7F00" //Floating Button Color app:tint="@android:color/white" //Icon's color in fab app:fabCustomSize="62dp" //change Icon's location following FAB'width or heigt app:maxImageSize="40dp" //Icon's size in fab 1.ScrollView 일반적으로 사용 합니다 제가 생각 하기에 ScrollView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상호 관계"인것 같습니다 2.HorizontalScrollView 가로 스크롤을 잡고 그 안에서 리니어를 사.. Android Animation [kotlin] 안녕하세요 윌리엄입니다 ~~ 오늘은 애니메이션에 대해 다뤄 보려고 하는데요 가장 많이 사용하고 또한 기본이 되는 1.회전 (rotate) 2.크기 (scale) 3.투명도 (alpha) 4.이동 (translate) 이 4가지를 소개 하도록할께요! 들어가기전에 이 코드는 anim 폴더에서 작성해야 하는것은 알고계시죠? 그럼 하나씩 속성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애니메이션 완료후 바뀐 효과 유지 //회전 //크기 //투명도 //이동 구초 대부분 "from A to B" 구문 처럼 사용하시면 돼요! 그런데 제가 조금도 강조 하고 싶은 부분은 Translate 부분인데요 위에서 적은 android:fromYDelta="0%" android:toYDelta="500%" //최대의 변화를 보기위해 500(일반적으로.. Android Manifest 에 관하여 여러분 안녕하세요 william입니다~ 오늘은 Android 개발을 하면서 자주 봤고 중요하다고 느꼈지만 대충 넘어갔던 Manifest에 대해서 각각 어떤기능을 담당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블로그에서 Manifest 관련 4대컴포넌트를 비롯하여 permission등 정리가 잘 된 좋은 글이 있었으나 그러한것은 조금 더 공부하면서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초보 입장에서 당장 안드로이드를 시작했을때 나오는! 내가 바로 접하는 부분에 관해서만 오늘은 정리 하겠습니다 (절대~~~어려워서 피하는거 아니예요^^....) 목차 1. Manifest 2. application 3.Activity 4.Intent-filter [Android Studio 좌측 상단에 Manifest File 클릭] 들어가기 전에... ..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