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론/네트워크

기본

반응형

프로토콜?

 

"본래 의미는 외교에서 의례 또는 의정서"

톰 마릴이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라 정의

 

프로토콜의 3가지 요소

 

  1.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나 포맷을 의미

  2.의미(Semantics) : 전송되는 데이터의 각 부분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알 수 있게 미리 정해둔 규칙

            (데이터 뿐아니라 오류제어,동기제어 흐름제어)

  3.순서(Timing) : 어떤 데이터를 보낼것인지와 얼마나 빠르게 데이터를 보낼것인지 정의

 

프로토콜의 기능

 

1.주소설정 (주소가 반드시 필요)

2.순서 제어 (보내는 순서 명시하는기능)

3.데이터 대열의 단편화 밎 재조합(대용량 파일시 쪼개서 전달)

4.캡슐화 :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덧붙이는것

5.연결제어: 연결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에 대한 통제 수행 (적절한 개입을 통해 연결상태를 확인)

6.흐름제어 :송식측 개체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조절하는기능,송신과 수신측의 속도차이등으로 인한

                   정보 유실을 방지

7.오류제어:두 개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때 SDU나 PCI가 잘못되었을경우 이를 발견하는 기법

                 따라서 오류가 발생했을경우 순서를 검사하거나 특정 시간안에 받지 못하면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SDU : service data unit  => pay load(실제 데이터가 담긴것)

PCI : protocol control unit => Header

 

8.동기화: 두 개체(송신과 수신)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때  각 객체는 특정 타이머 값이나 윈도우 크기 등을 통해 동시에 정의된 값을 공유 => 시간 개념이 중요

9.다중화: 통신 선로 하나에서 여러 시스템을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기법

10.전송 서비스: 우선 순위 결정, 서비스 등급과 보안 요구등을 제어하는 서비스

 

=> 프로토콜에대한 다른관점..

네트워크 하는 사람들 : 장애가 생김에도 불구 하고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통신을 만들것인가?

공격 => 인위적 공격을 만듬

보안  : 문제점(인위적, 자연적)을 인식하고 개선을 위한 개발 이때 문제가 인위적 공격인지 자연적 공격인지 확인.

 

 

네트워크 계층화에 대한 이해

  1.1980년대 초 ISO는 여러 업체가 만든 시스템에 대해 상호 연동이 가능한 표준 네트워크 모델을 재정할 필요성을 인식

  2.1984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네트워크 모델을 발표

 

 

OSI 7Layer

 

물리계층 :1 계층

     -시스템 간의 연결선 (흔히 랜을 뜻함)

     실제 장치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사항을 정의 

데이터 링크 계층 : 2계층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가 필요

     -가장 잘 알려진 예) 이더넷

네트워크 계층 : 3계층 

     -여러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 최적의 경로 찾아줌

     -라우팅, 흐름 제어, 단편화(Sementation/ Desegmentation), 오류 제어 등을 수행

     -대표적인 예는 라우터로, 이 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를 흔히 L3 스위치라함.

전송 계층 : 4계층

     - 전송 계층 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중 TCP는 연결 지향 프로토콜

세션 계층 : 5계층

     - 

표현계층 : 6 계층

   -데이터 압축과 암호화 기능 수행

응용셰층 : 7계층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함

   -HTTP,FTP,터미널 서비스, 메일서비스,,

 

TCP/IP

   OSI 7계층과는 차이가 있다.

 

 

반응형

'이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 응용계층, 계층 패킷 분석  (0) 2021.09.22